국내 대형마트들이 앞다퉈 중국 역직구 내수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대형마트가 유통규제와 내수 침체로 역신장을 거듭하며 어려움을 겪자, 우리나라처럼 폭발적인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는 중국 온라인 내수 시장을 확보해 돌파구로 삼자는 배경이 깔려 있다.
韓國大型超市爭先搶後地跳入中國逆向直購的內需市場。這是由於大型超市因為流通規定和內需沉滯而出現負增長、陷入困境,加入像韓國一樣呈現爆發性成長趨勢的中國網絡內需市場作為突破口,克服難關。
10일 대형마트 업계에 따르면, 이마트와 롯데마트는 중국 온라인 쇼핑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는 알리바바 그룹과 손잡고 중국 역직구 내수 시장에 도전한다.
10日,根據大型超市業界的消息,e-mart和樂天超市和佔有中國網絡購物市場的80%的阿里巴巴集團攜手,挑戰中國逆向直購內需市場。
이마트는 알리바바 그룹이 해외 유명브랜드의 중국 온라인 유통을 위해 운영 중인 중국 기업 개인간 거래(B2C)온라인몰 『티몰 글로벌』(TMALL GLOBAL)에 이마트관 운영을 위한 도메인(http://emart.tmall.hk)을 개설했다.
e-mart在阿里巴巴集團為了海外品牌在中國網絡流通而運營的中國企業個人交易(B2C)網絡購物平臺「天貓國際」中運營e-mart館而開設了專營頁面(http://emart.tmall.hk)。
3월 중순 문을 열 이마트관에서는 김, 과자, 음료, 된장 등의 가공식품과 전기밥솥, 홍삼정, 여성위생용품 등 100여 개 상품이 판매된다. 품목은 올해 상반기까지 500여 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3月中旬開館的e-mart館中將會銷售紫菜、餅乾、飲料、大醬等加工食品和電飯鍋、紅參精、女性衛生用品等100多種產品。商品種類至今年上半期為止將擴大到500多種。
이마트는 이들 품목이 요우커(遊客·중국인 관광객)의 필수 쇼핑 품목으로 자리 잡을 만큼 인기가 높고, 중국 온라인몰 시장이 한 해 40% 이상의 고신장을 기록하고 있을 정도로 성장세가 가파른 점을 고려해 이번 진출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e-mart對此進行了說明,這些商品是遊客必需的購物種類,人氣很高。考慮到中國網絡市場的銷售額1年增長40%以上,呈現非常陡峭的上升趨勢,因此才決定進軍中國。
제주와 동인천 지역 이마트에서는 김, 과자, 여성용품, 고무장갑 등 중국인 관광객들의 쇼핑 필수 상품 매출이 일반점포와 견줘 평균 2배 이상 높을 정도로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최우정 이마트 온라인총괄 부사장은 「중국은 온라인 시장이 매섭게 성장하고 있으며, 한국 이상으로 해외 직구가 괄목할 정도로 크고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濟州和東仁川地區的e-mart裡,紫菜、餅乾、女性用品、塑膠手套等中國遊客的購物必需商品銷售要比普通商店高出2倍以上,非常熱銷。e-mart的網絡總括副社長崔幽靜對此進行了說明:「中國網絡市場以非常可怕的速度成長著,高於韓國的海外直購能力令人刮目相看」。
롯데마트 역시 알리바바 그룹의 티몰 글로벌에 롯데마트 전용 도매인(http://lottemart.tmall.hk)을 개설하고 이마트와 같은 시기에 롯데마트 전용관을 운영하기로 했다. 롯데마트 측은 「가공식품부터 위생용품, 완구 등 100여 개 상품을 판매하고 400여 개를 더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樂天超市同樣在阿里巴巴的天貓國際上開設了樂天超市的專用域(http://lottemart.tmall.hk),和e-mart在同一時期運營專用館。樂天超市方面表示:「將會銷售加工食品、衛生用品、玩具等100多種產品,計劃還將增加400多種產品」。
關注我們:滬江韓語(微信號:hjkorean)
↓↓戳"閱讀原文"看韓媒如何評價阿里巴巴登陸韓國市場的利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