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준과 《동의보감》
허준은 1546년부터 1615년까지 활동한 우리 나라의 이름난 고려의학자입니다.
남달리 총명하였던 그는 20대에 의과시험에 합격하여 30대에는 내의원의 의관이 되였습니다. 내의원은 왕궁에서 쓸 약을 짓는 일을 맡아보는 관청이였습니다.
그후 어의로 되여 33년간이나 궁중에서 치료사업을 하였습니다.
허준은 생애에 여러권의 의학서적들을 저술편찬하였는데 대표적인 저서로는 《동의보감》을 들수 있습니다.
사회과학원 민족고전연구소 실장 리춘섭은 말합니다.
《허준은 오랜 림상경험과 국내외의 수백여권의 의학책들을 참고하여 1596년부터 1610년까지 <동의보감>을 편찬하고 1613년에 출판하였습니다.
<동의보감>은 우리 선조들이 수천년을 내려오면서 우리 민족의 생활습성과 신체구조에 알맞게 창조하고 발전시킨 치료법들과 처방들이 들어있는것으로 하여 오랜 기간 우리 인민들의 병치료와 건강증진에 리용되여왔으며 의학백과전서적인 책으로 국내외에 널리 알려졌습니다.》
이 고전은 목록 2권, 내경편 4권, 외형편 4권, 잡병편 11권, 탕액편 3권, 침구편 1권, 총 25권으로 되여있습니다.
내경편에는 주로 오장륙부의 생리적기능과 그에 해당한 병, 외형편에는 몸겉면에 생기는 병과 이비인후과질병, 안과질병에 대한것을 주었습니다. 잡병편 1권-9권에는 진찰법과 병의 원인 그리고 내경편과 외형편에서 취급되지 않은 여러가지 내과적질병들에 대한 증상과 치료법, 처방들을 주었고 잡병편 10권에는 부인과, 11권에는 소아과에 대한것을 주었습니다. 탕액편에는 당시 우리 나라에서 흔히 쓰이고있던 고려약 1 400여종의 효능, 적응증, 채취법, 가공방법을 소개하고 산지까지 밝혀주었으며 고려약의 이름밑에는 민간에서 부르는 이름도 써주었습니다. 침구편에서는 침뜸법과 혈의 위치, 적응증을 서술하였습니다.
《동의보감》은 당시 고려의학을 발전시키는데서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오늘도 그 과학적인 내용과 고려치료에서의 실용적의의, 문화사적가치가 높이 평가되고있습니다.
許俊和《東醫寶鑑》
許俊是1546年到1615年的我國著名的高麗醫學家。
他從小格外聰明,二十來歲時醫科考試及格,三十來歲時當了內醫院醫官。內醫院是為王宮負責調製藥物的官廳。
後來,他當一名御醫,從事宮廷醫療工作長達三十三年。
許俊一生編撰了好幾部醫學書籍,代表著作是《東醫寶鑑》。
社會科學院民族古典研究所室主任李春燮說:《他生前根據自己長期的臨床經驗,還參考數百多部國內外醫學書籍,從1596年到1610年編撰了〈東醫寶鑑〉並於1613年出版。〈東醫寶鑑〉敘述的是我們的祖先數千年來根據我們民族的生活習慣和身體結構加以創造和發展的治療法和處方,因此很久以來一直用來診病治病、增進人體健康,從而以一部醫學百科全書般的書籍在國內外享有盛譽。》
這部古典共有25卷,由目錄2卷、內經篇4卷、外形篇4卷、雜病篇11卷、湯液篇3卷、針灸篇1卷構成。
內經篇主要敘述了五臟六腑的生理機能及其有關疾病,而外形篇敘述的是體外疾病、耳鼻喉科疾病和眼科疾病。雜病篇從第1卷到第9卷記述了診病法和病因以及內經篇和外形篇所沒有提到的各種內科疾病的症狀、治療法和處方,雜病篇第10卷記述的是婦科,第11卷是小兒科。湯液篇介紹了當時我國常用的1400多種高麗藥的療效、適應症、採摘法和加工方法並註明產地,而且在高麗藥名下邊附註民間俗稱藥名。針灸篇敘述的是針灸法、穴位和適應症。
《東醫寶鑑》對當時高麗醫學發展起到了很大的作用。
我國醫學古典《東醫寶鑑》由於其科學內容、高麗治療的實用意義和文化史價值而如今也得到高度評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