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同性戀在韓國社會的生存現狀
동성애. 복잡 미묘한 단어다. 익숙하지만 여전히 은밀하다. 통계 작성은 애초에 불가능하다. 예측할 순 있어도 100% 신뢰할 순 없다.동성애학과까지 개설되는 해외의 현실에 비해 한국사회에서 동성애는 더욱 내밀하다. 당당히 밝히는 동성애자도 있지만, 아직은 그 반대가 많다.
同性戀。複雜微妙的詞彙。雖然熟悉卻依然很隱秘。最初時進行統計是不可能的。就算可以預測也不能100%信賴。與連同性戀學科都開設的國外現實相比,在韓國社會同性戀更加隱秘。雖然也有大方表明的同性戀者,但至今相反的人還很多。
2011년 성과학연구소가 조사한 『대한민국 성의식 리포트』에 따르면 성인 남녀 1,000명 중 7명이 동성애 경험을 갖고 있었다. 올해 1월 기준 20세 이상 성인인구(행정자치부 주민등록 통계)는 4,079만2,111명이다. 물론 오차는 발생하겠지만, 전체 인구에 위 조사 결과를 대입해보면 대략 28만명이 동성애를 경험했다고 어림잡을 수 있다.
根據2011年性學研究所調查的「但大韓民國性意識報告」,1000名成人男女中7名有同性戀經驗。以今年1月為基準,20歲以上成人人口(行政自治部居民登錄統計)有4079萬2111名。當然誤差是會有的,但將調查結果代入整體人口中的話,估計大約有28萬名說經歷過同性戀。
동성애에 대한 우리사회의 인식은 차츰 개선되고 있다. 표면적으로 그렇다. 영화감독 김조광수씨와 레인보우 팩토리 김승환 대표의 동성결혼식 등 사회적 관심이 높은 이벤트의 영향이 컸다. 하지만 한국사회에서 동성애자로 산다는 것은 여전히 인고의 삶이다. 2012년 OECD가 시행한 『동성애자 관용 수준』 조사에서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32개국 중 31위권 점수를 받았다. 이슬람 문화권인 터키를 제외하면 사실상 제일 낮은 점수다.
我們社會對於同性戀的認識在漸漸改善。表面上是那樣的。電影導演金趙光壽和彩虹工廠金承煥代表的同性婚禮等社會性關注高的事件的影響很大。但是在韓國社會以同性戀生活依然是忍受痛苦的生活。在2012年OECD(經合組織)實施的「同性戀者寬容水準」調查中,我們國家(韓國)在OECD32個會員國中位列31位。除去伊斯蘭文化圈的土耳其,事實上是最低的分數。
韓國同性戀現狀。
직접 부대끼며 살고 있는 성소수자 생각 역시 다르지 않다. 2013년 게이인권단체 『친구사이』가 LGBT(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sexual의 약자, 성적 소수자를 아우르는 용어)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응답자 3,156명 중 93.4%(2,949명)가 「성소수자로 살기에는 한국 사회는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차별이나 폭력을 직접 당했다」도 1,312명(41.5%)나 됐다.
親身受著困擾生活的性少數者想法自然也無異。在2013年個人人權組織「朋友關係」以LGBT(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sexual的弱者、性少數者的統稱)團體為對象的某調查中,3156名應答者中93.4%(2949名)回答說「以性少數者生活在韓國社會是受否定的」。1312名(41.5%)甚至「直接受到過差別對待或暴力」。
한국 사회에서 커밍아웃(동성애자를 밝히는 것)은 더욱 많은 용기가 필요한 일이다. LGBT 커뮤니티 설문 응답자 3,156명 중 52%(1,647명)가 자신이 동성애자라는 사실을 주변 사람에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이들 중 10.8%(341명)는 아버지에게, 21.8%(688명)는 어머니에게 동성애자임을 고백했다.
在韓國社會公開同性戀是更需要勇氣的事情。LGBT團體問卷調查表明3156名回答者中52%(1647名)像周圍的人公開了自己是同性戀者的事實。相比而言他們中10.8%(341名)向爸爸坦白了,21.8%(688名)向媽媽坦白了是同性戀者。
동성애자는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니다. 남의 이야기가 아닐 수도 있다. 만약 내 자녀가 커밍아웃을 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우선 자녀가 커밍아웃 이전과 같은 사람이라는 것을 명심하고, 자녀의 성 정체성을 인정하고, 대화에 나서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同性戀者並不是遙遠國度的事情。也可能不是別人的故事。假如我的子女公開同性戀者的話怎麼辦呢。專家建議首先要銘記子女公開同性戀與之前是一樣的人,承認子女的性認同性,並與之進行交流。